1) 부모와 자녀 1) 부모와 자녀 부모의 사랑은 넓은 바다와 끝없는 하늘에 비유한다. 한 생명을 잉태하여 스스로 독립할 때까지 길러주고 보살펴주는 것이 부모의 의무이기 때문이다. 부모는 물질 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자식에게 중요한 존재이고, 자식 또한 부모에게 분신과 같은 소중한 존재이다. 그래서 예부터 ..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
3. 더불어 사는 삶 3. 더불어 사는 삶 우리는 매순간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간다. 그런데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한 공간에 있다 보면 본의 아니게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그런 문제는 사소한 일에서 비롯되어 결국은 큰 갈등을 빚게 된다. 거기에는 언제나 '너'와 '나'가 따로 있고, 자기 생각만을 고집하는 ..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
2.깨달음을 향한 살천 덕목,육바라밀 2.깨달음을 향한 실천 덕목, 육바라밀 올바른 불자의 삶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따르며, 실천하는 것이다. 이처럼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사람을 대승불교에서는'보살(寶薩)이라고 한다. 보살은 부처가 되고자 원을 세운 사람이다. 보살은 부처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남을 이롭게 하는 수행..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
2)일곱 부처님의 공통 계율,칠불통계(七佛通戒) 2)일곱 부처님의 공통 계율,칠불통계(七佛通戒) 이러한 불교 윤리의 바탕에는 지혜와 자비가 있다. 지혜와 자비로 이러한 잘못된 행동의 원인을 없애고 진리의 입장에 서서 바로 보는 것(正見)이 우리가 지향해야 할 행동이다. 이러한 행동양식을 바탕으로 모든 생명를 내 몸과 같이 사랑하고 서로 위..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
(2)십악업(十惡業)과 十善業) (2)십악업(十惡業)과 十善業) 인간은 행복하기를 바라면서도 불행을 불러올 악업을 일삼는 어리석은 짓을 되풀이 하고 있다. 부처님은 이러한 악업을 열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몸(身業)으로 짓는 세가지 업, 즉 살생(殺生), 도둑질(偸盜), 사음(邪淫),입(口業)으로 짓는 네 가지 업, 즉 이간질(兩舌), 험악..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
(1)삼세(三世)업보설 (1)삼세(三世)업보설 세상에는 나쁜 일을 저지러고도 잘 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착한 일만 하는데도 불우하게 사는 이가 있는 등 인과의 법칙에 어긋나는 듯 한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유물론자들은 신의 뜻이라고 하고, 운명론자들은 그 원인을 운명 에서 찾는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만..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
1. 불교의 윤리관 1)불교의 윤리 근간 1)불교의 윤리의 근간 윤리란 인간이 지켜야 할 도리나 규범을 말한다. 즉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를 구분하여 선을 행하고 악을 멀리하여, 궁극적으로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윤리의 목적이다. 불교의 윤리사상은 업설(業設)과 계율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업 설은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
제6장 우리도 부처님 같이 제6장 우리도 부처님 같이 부처님은 어떤 분인가? 우주의 진리를 깨달으셨다는데, 무엇을 깨달으신 것인가? 그리고 깨달음을 얻으신 뒤 어떤 삶을 사셨을까? 이 책을 첫 장부터 착실하게 읽어 왔다면 지금쯤 이런 질문에 대해 어렵지 않게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의문들 앞에서 조금은 .. ◀불교입문▶/우리도 부처님같이 200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