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불교의 근본 교리 25

5절 수행관 - 3 초기불교의 조도 수행

3 초기불교의 조도 수행 조도(助道) 수행은 말 그대로 선정 수행을 보완하고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수행이다. 초기불교에는 이 조도 수행이 모두 일곱 종류의 37가지 조목으로 제시되어 있다. 즉 ① 사념처(四念處), ② 사정근(四正勤), ③ 사신족(四神足), ④ 오근(五根), ⑤ 오력(五力), ⑥ 칠각지(七覺支)..

5절 수행관 - 2 초기불교의 수행상

2 초기불교의 수행상 수행은 전환하는 것이고 되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우리는 최종적으로 깨달음의 존재로 전환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실천하는 것이 불교의 수행이었다. 그런데 그 깨달음에 이미 크게 두 가지가 있었다. 이른바 벽지보리와 삼먁삼보리였다. 여기서 우리는 벽지보리를 증..

4절 불타관 - 5 벽지보리와 삼먁삼보리

5 벽지보리와 삼먁삼보리 부처님이란 깨달음을 얻은 분이다. 그리고 부처님의 깨달음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한다. 따라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해 논하는 것은 부처님에 대해 살펴보는 또 다른 핵심적인 방향이 될 것이다. 그럴 때 우리는 먼저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단 한 번에 성취되는 것..

4절 불타관 - 4 법신과 보신 그리고 화신불

4 법신과 보신 그리고 화신불 부처님에 관한 이해는 교학적인 논의가 진행되어 가면서 점점 복잡해져 가는데 그중 이 항목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불신(佛身)이라는 관점에서 부처님을 이해하는 것이다. 사실 경전마다 불신에 대한 분류나 정의는 다양하기만 하다. 예를 들어 “여래의 몸은 두 가지..

4절 불타관 - 3 제불의 시간적, 공간적 이해

3 제불의 시간적, 공간적 이해 경전에는 여러 가지 모습으로 부처님을 설명한다. 그중 시간적, 공간적 입장에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 항목에서 다룰 내용이다. 1 과거불, 미래불 부처님의 시간적 분류는 과거불과 미래불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과거불의 경우 과거칠불(過去七佛) 사상을 중심으로 한 ..

4절 불타관 - 2 부처님의 덕성과 정체

우리는 흔히 막연하게 부처님을 떠올린다. 그 부처님에는 유신론적인 절대자의 이미지도 실려 있고 자주 다니던 사찰에 모셔진 불상의 모습도 담겨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처님의 고행상에서 받는 참혹한 느낌도 들어 있다. 이처럼 불자의 가슴마다 떠오르는 부처님은 일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잘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