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선 5) 선과 현대 현대사회에 있어서 왜 선수행이 필요한가. 인간성 상실, 물질지상주의, 환경오염, 전쟁과 기아 등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들에 대해 선은 어떤 대안을 가지고 있는가. 현대인들은 물질적 풍요 속에서 정신적 빈곤을 느끼며 정체성을 상실하고 방황하고 있다.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것은 문..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7. 선 4) 한국선(韓國禪)의 전개 한국선의 정신은 원효의 ‘귀일심원 요익중생(歸一心源 饒益衆生)’이라는 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 선(禪)이 본격적으로 전래되기는 신라 말 시작하여 고려 초에 이르기까지 구산(九山)으로 대표되는 선문(禪門)이 개창되는 때의 일이다. 구산선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① 처음으로 ..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7. 선 3) 중국 선종사상의 전개 중국에 선이 전래된 것은 후한 이래 선경이 번역된 이후의 일이다. 안세고가 소승계의 선경인 『안반수의경』 및 『선행법상경』등을 번역하였으며, 지루가참이 대승계의 선경인 『반주삼매경』과 『도행반야경』등을 번역하였다. 특히 수식관을 주로 설하고 있는 『안반수의경』은 달마가 중국에 ..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7. 선 2) 선종과 선의 종류 선종이란 인도의 선이 중국에 전래되어 선 수증의 종지를 가지고 형성된 종파를 말한다. 선종의 초조는 보리달마이며, 혜가, 승찬, 흥인을 거쳐 신수와 혜능에 의해 북종과 남종으로 나뉘어져서 북종은 점수선, 남종은 돈오선을 각각 선양하였다. 남종 계통인 마조의 홍주종에 이르러 조사선의 생활종..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7. 선 1) 선의 기원 1) 선의 기원 선은 고대 인도의 명상법인 요가에서 비롯되어 붓다의 명상과 정각을 통하여 새로운 불교의 실천 수행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요가의 기원은 B.C 3000년 경 고대 인도의 원주민들에 의해 실시되었다. 따라서 요가 명성인 선은 약 5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요가라는 말은 사..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6. 밀교 1) 밀교의 성립과 역사 ‘밀교(密敎)’는 ‘비밀불교(秘密佛敎)’를 줄여 부른 말인데, 깨달음을 위한 수행도로서의 밀교를 진언승(眞言乘), 또는 진언문(眞言門)이라고도 한다. 또한 밀교를 표현하는 다른 용어로는 금강승(金剛乘), 구생승(俱生乘), 시륜승(時輪乘) 등이 있다. 서양에서는 밀교를 딴뜨..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5. 정토 1) 정토교의 성립 중국 정토교(淨土敎)는 교리적으로 볼 때 다소의 차이점이 있는 세 유파가 있으나 그다지 명확한 구별을 하지 않고 모두 혜원(慧遠)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정토교를 명실공히 집대성한 사람은 선도(善導)이다. 먼저 담란(曇鸞, 476~542)은 보리유지(菩提流支) 삼장으로..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4. 화엄 1) 화엄경의 해제 원래 경이름[經名]에는 그 경이 지니는 전체의 내용이 잘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경이름 풀이를 잘 하면 그 경의 반(半)은 해석 되었다고 일컬어진다. 그런 의미에서 『화엄경』의 갖춘 이름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해제를 먼저 살펴보자. 먼저 대(大)라고 ..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3. 천태 1) 천태종의 성립 천태종의 초조는 혜문(慧文)인데, 자세한 전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6세기 중엽에 수백 명의 무리를 엄격하게 지도한 사람이고, 『대지도론』에 의지해서 선관(禪觀)을 닦았다고 한다. 2조는 혜사(慧思: 515~577)이다. 그는 혜문의 제자이고, 『법화경』을 독송하고 좌선을 매우 충..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
2. 유식 1) 유식학의 출현과 문헌 앞에서 공사상을 설명하면서, 공견 또는 공병의 위험성에 대해 간략히 언급한 바 있다. 유식학은 중관학에서 말하는 공견을 악취공(惡取空)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공을 잘못 파악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런 악취공적 세계관, 허무주의적 세계관을 비판하면서 우리의 마.. ◀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2009.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