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이해와 신행▶/불교 교리의 전개 11

7. 선 4) 한국선(韓國禪)의 전개

한국선의 정신은 원효의 ‘귀일심원 요익중생(歸一心源 饒益衆生)’이라는 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 선(禪)이 본격적으로 전래되기는 신라 말 시작하여 고려 초에 이르기까지 구산(九山)으로 대표되는 선문(禪門)이 개창되는 때의 일이다. 구산선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① 처음으로 ..

7. 선 3) 중국 선종사상의 전개

중국에 선이 전래된 것은 후한 이래 선경이 번역된 이후의 일이다. 안세고가 소승계의 선경인 『안반수의경』 및 『선행법상경』등을 번역하였으며, 지루가참이 대승계의 선경인 『반주삼매경』과 『도행반야경』등을 번역하였다. 특히 수식관을 주로 설하고 있는 『안반수의경』은 달마가 중국에 ..

7. 선 2) 선종과 선의 종류

선종이란 인도의 선이 중국에 전래되어 선 수증의 종지를 가지고 형성된 종파를 말한다. 선종의 초조는 보리달마이며, 혜가, 승찬, 흥인을 거쳐 신수와 혜능에 의해 북종과 남종으로 나뉘어져서 북종은 점수선, 남종은 돈오선을 각각 선양하였다. 남종 계통인 마조의 홍주종에 이르러 조사선의 생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