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의 이해▶/-------한국불교 21

근대 이후의 불교 4. 해방 이후의 불교

4. 해방 이후의 불교 해방과 교단개혁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은 불교계는 식민지 불교체제의 해체와 교단 개혁을 위한 즉각적인 활동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뒤를 이은 미국 군정은 기독교를 지원하고 불교를 차별하는 편향적 태도를 보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귀속재산 처리법의 운영에서 불..

근대 이후의 불교 3. 불교계의 위상 정립과 총본산 건립

3. 불교계의 위상 정립과 총본산 건립 교육과 포교 활동 불교의 중흥을 위한 전제로서 중시되었던 것은 청년 인재의 양성이었다. 교계 지도급 인사들은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불교계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는 일반 학문에 대한 연구와 근대적인 교육제도의 수립이 필수적이라고 여겼다. 그러한 분위..

근대 이후의 불교 2. 일제 강점기의 조선불교계

2. 일제 강점기의 조선불교계 사찰령과 본산제 1910년 일본 제국의 강점 이후 불교계를 비롯한 모든 종교계는 일본의 정책에 의해 극심한 제약을 받았다. 특히 일본이 불교에 대한 통제책으로 내세운 것은 1911년 반포된 사찰령과 그 시행규칙이다. 전문 7개조로 이루어진 사찰령과 전문 8조의 시행규칙..

근대 이후의 불교 1. 개화기의 불교

1. 개화기의 불교 개항 이후 불교계의 변화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을 계기로 조선은 새로운 세계질서에 편입하게 되었다. 이후 사회 전반에 불어 닥친 변화의 물결에서 불교계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산중에 머물러 있던 불교는 이제 급변하는 사회에 걸맞는 새로운 위상을 세워야만 했다. 개항과 함께..

조선시대의 불교 3. 불교의 부흥과 교단 정비

3. 불교의 부흥과 교단 정비 선교 양종의 재건과 의승군의 활동 폐불정책으로 인하여 산 속에 은둔했던 불교계는 명종대에 국왕의 모후인 문정왕후의 후원을 얻어 일시적으로 재건의 기회를 맞게 되었다. 명종 5년(1550)에 문정왕후는 보우(普雨)를 선종판사로 등용하면서 양종을 재건하게 하였고, 승과..

조선시대의 불교 2. 왕실의 후원과 불전의 간행

2. 왕실의 후원과 불전의 간행 왕실의 불교 후원 태조는 불교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고 불교정책에서도 매우 호의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개국 원년(1392)에 무학 자초(無學自超, 1327~1405년)를 왕사로 삼았고, 3년에 천태종 승려 조구(祖丘)를 국사로 삼았다. 무학대사는 나옹의 제자로서 조선 개국과 한..

조선시대의 불교 1. 조선 전기의 불교정책

1. 조선 전기의 불교정책 종단의 통폐합과 승려 환속정책 조선 왕조는 개창 이래 불교에 대한 배척과 숭유를 명분으로 하였다. 조선 왕조의 개창을 주도하였던 정도전은 『불씨잡변(佛氏雜辨)』을 통해 불교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폐단을 지적하며 불교의 혁파를 강력히 요구하였다. 정도전의 불교 ..

고려 시대의 불교 - 원나라 간섭기의 불교계

원나라 간섭기의 불교계 불교계의 친원화(親元化) 무인정권이 몽골과의 결사 항전을 주장하고 부처님의 가호를 빌기 위하여 대장경 제작에 열의를 기울였지만, 고려는 결국 몽골에 굴복하고 말았다. 고려가 항복한 직후 몽골은 국호를 원(元)으로 바꾸고 새로운 복속국이 된 고려를 자신들의 뜻대로 ..

고려 시대의 불교 - 武人시대의 불교

무인정권과 불교계 의종 24년(1170)의 무력반정으로 무인들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고려사회는 크게 변화되었다. 기존의 지배층인 왕실과 문인관료들의 영향력이 급격히 쇠퇴하고 이를 대신하여 무인들이 새로운 사회 주도층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지배층의 교체는 불교계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

고려 시대의 불교 - 고려대장경과 교학의 발전

고려대장경의 조조(雕造) 승정제도 및 교단체제의 정비와 함께 불교계의 사상역량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들도 추진되었다. 그러한 노력 중 대표적인 것이 불교의 기본 문헌인 경(經)렝(律)럼(論)을 집대성한 대장경의 제작이었다. 고려의 대장경 제작은 현종 2년(1011)에 거란의 침공으로 수도가 함락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