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절을 찾아서] 8. 불교 성보의 이해 8. 불교 성보의 이해 한국불교는 1700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마침내 민족문화의 뿌리와 줄기기 되었다. 방방곡곡에 불교 성지와 불교 문화재가 숨쉬고 있다. 우리나라 국보와 보물, 지방문화재 대부분이 불교의 성보(聖寶)이다 유네스코(UNESCO)는 지난 1995..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7. 불교 조형물 1)당간과 당간지주 2)엄경대 3)윤장대 7. 불교 조형물 1) 당간과 당간지주(幢竿支柱) 예전에는 사찰에서 기도나 법회 때 기(旗)를 내걸었다. 이 기를 당(幢)이라고 하는데. 당을 걸어두는 기둥이 당간이다. 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우는 지주로서 대개 사찰 입구에 세운다. 당간은 금동, 철 등 금속재를 사용하며, 당간지주는 거의 ..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6.사리장엄과 복장물 6.사리장엄과 복장물 사리장엄(舍利莊嚴)이란 사리를 봉안하는 갖가지 장엄구다.사리를 담는 사리구와이 사리구를 탑 속에 봉안하는 사리장치를 통틀어 일컫는다. 사리장엄에는 사리를 담는 사리병과 그것을 보호하는 합(盒)이 있다. 사리병은 신라시대에는 유리와 수정으로 만들었으나 고려시대에..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5.법구(法具) 1)불전사물 2)목탁 3)죽비 4)발우 5)요 5.법구(法具) 법구는 불교 의식 등에 쓰이는 모든 도구를 가리키며 불구(佛具)라고도 한다. 법구는 법답게 소중히 다루어야 하며 필요할 때만 법식에 맞춰 사용해야 한다. 1)불전 사물(四物) 주석 예불 때 치는 법고, 운판, 목어.범종을 불교의 사물(四物)이라고 한다. 법고(法鼓)는 법을 전하는 북이라는 ..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4.불교 회화 1)탱화 2)벽화 3)감로도 4)괘불 5)변상도 4. 불교 회화 불교 회화는 예술성만을 추구하는 순수예술이 아니며, 불교 사상을 주제로 하는 성스러운 예술이다. 그러므로 좋은 불회는 기법이나 양식이 획기적인 작품성보다 불교 이념을 얼마나 훌륭하게 표현하였느냐가 더 중요하다 1)탱화 탱화는 비단이나 삼베에다 불보살의 모습이나 경전 내용..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3.불상과 수인(手印) 3)광배(光背)와 대좌(臺座) 3)광배(光背)와 대좌(臺座) 광배는 부처님의 몸에서 나는 신령스럽고 밝은 빛을 상징화한 것이다. 불신(佛身)의 뒤쪽에 둥그렇게 표현되며, 형태는 시대와 지역, 혹은 불보살의 종류 에 따라 다르지만, 빛이 머이에만 비추는 두광(頭光)과 몸 전체에 두루 비추는 신광 (身光)이 있다. 대좌는 불ㆍ보살상..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3.불상과 수인(手印) 2) 수인(手印) 2) 수인(手印) 불상의 손모양을 수인이라고 하는데, 수인에는 특별한 뜻이 있다. 부처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모양을 만들어 표현하는 것이다. 인계(印契), 인상(印相), 밀인(密印), 계인(契印)이라고도 한다 수인은 교리상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불상을 만들 때 함부로 형태를 바..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3.불상과 수인(手印) (4) 나한상(羅漢像)과 조사상(祖 (4) 나한상(羅漢像)과 조사상(祖師像) 부처님의 상수제자인 가섭존자와 아난존자 등 훌륭한 제자들을 조성한 것이 나한상이고 한 종파의 큰스님을 조각한 것을 조사상이라고 하는데, 모두 스님상을 하고 있다. 나한상은 가섭존자.아난존자 등 십대 제자를 중심으로 오백 나한. 천이백 아라한 등이 있고..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3.불상과 수인(手印) (3)천부신장상(天部神將像) (3)천부신장상(天部神將像) 본래 인도 재래의 신들로서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님과 불교를 지켜주는 호법신장(護法神將)이 된 신들을 천부신장이라고 한다. 귀족 또는 장군, 온화한 모습, 진노한 모습, 등 갖가지 형상을 하고 있다 유명한 상으로는 인왕상(仁王像), 사천왕상,(四天王像) 제석천상(帝釋天..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