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49

[유위의 복과 무위의 복] 최상의 복이란 무엇인가?

복에는 유위복(有爲福=有漏福)과 무위복(無爲福=無漏福)이 있다. 여기서 누(漏)는 누설(漏泄)의 준말 로 번뇌를 뜻하는데, 번뇌를 끝낸 것을 무루법(無漏法), 번뇌가 없는 육체를 무루신(無漏身), 번뇌가 없는 깨달음의 세계를 무루의 길이라고 하며, 범부의 지혜를 유루지(有漏智)라 하는 데 비하여 도..

[묵조선(默照禪)] 묵조선이란 무엇인가?

묵조선은 간화선(看話禪)과 대비되는 표현법으로, 참선을 할 때 화두나 공안을 들지 아니하고 본래 그대로의 체(體)를 비추어 보는 선, 즉 고요히 묵묵히 앉아서 모든 생각을 끊고 참선하는 선법을 말한다. 묵조선의 방법은 육근 작용의 문을 막고 지관타좌(只觀打座), 즉 잡념을 두지 않고 오직 성성적..

[간화선(看話禪)] 간화선이란 무엇인가?

간화선이란 우주 인생의 근원을 철저히 구명(究明)해 가는 데 있어서 화두(話頭)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공부해 나가는 불교의 참선법이다. 다시 말하면 화두라고 하는 정형화되어 있는 어떤 사항을 참구하면서 수행함으로써 평등일여(平等一如)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글자 그..

[비파사나 수행법] 초기 불교의 비파사나 수행법이란 무엇인가?

불교의 여러 가지 수행법 가운데서 가장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명상법으로서, 한역에서는 관(觀) 혹은 능견(能見)ㆍ정견(正見)ㆍ관찰(觀察)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관이란 지혜로써 객관의 경계 를 관찰하여 비추어 본다는 것으로, 가령 부정관(不淨觀)이라 하면 인간의 육체가 추하고 더..

[이참(理懺)과 사참(事懺)] 진정한 참회는 무엇인가?

참회란 자신(중생)이 바로 진리의 생명인 부처님의 씨앗임을 불신해 온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쳐 자각하고 진리 자체의 생명인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원천적인 행위를 뜻한다. 즉 청정무구한 본래의 자기 세계로 회귀(回歸)하려는 근원적인 충동에 의하여 나타난 마음의 작용과 몸짓인 것이다. ..

[약사여래(藥師如來)와 12대원(十二大願)] 약사여래는 누구인가?

약사여래는 약사유리광여래의 약칭으로,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 한다. 약사여래는 동방의 유리광(琉璃光) 세계에 주불(主佛)로 계시면서 왼쪽에는 일광변조(日光邊照)보살과 오른쪽에는 월광변조(月光邊照) 보살이 협시하고 있으며, 약사여래의 특징은 약병이나 약그릇을 양손으로 받쳐 들고 있다.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32응신(三十二應身)] 자비의 화신이신 관세음보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32응신(三十二應身)] 자비의 화신이신 관세음보살은 어떤 모습으로 오시는가? 관세음은 한자로 볼 관(觀), 인간 세(世), 소리 음(音) 자를 쓰는데 ‘인간 세상의 소리를 듣는다’는 뜻이 다. 인간 세상의 고통스런 소리를 하나도 남김없이 들으시고 그 고통을 구제하신다는 뜻..

[6재일(六齋日)과 팔관재계(八關齋戒)] 바람직한 재가 불자의 신행생활은

[6재일(六齋日)과 팔관재계(八關齋戒)] 바람직한 재가 불자의 신행생활은 무엇인가? 재계란 식사와 행동을 삼가고 몸과 마음을 청정히 하는 것을 말한다. 재계에는 팔관재계가 있는데 이는 오계를 수지한 재가 신자가 매년 삼장재월(1월, 5월, 9월)의 육재일(六齋日: 8일, 14일, 15일, 23일, 29일, 30일의 6일)..

[십선계(十善戒)] 재가자가 지켜야 할 십선계란 무엇인가?

대승계 또는 보살계의 대표적인 것이 십선계이다. 이것은 불교에서 세속인이 지켜야 할 열 가지 계율인 데, 인과의 도리에 따라서 선악의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을 3가지 신체적 행위, 4가지 언어적 행위, 3가 지 마음의 활동으로 분류한 십선업도(十善業道)를 그대로 계율의 조항으로서 삼은 것이다. 그 ..

[구족계(具足戒)] 출가자가 지켜야 할 계율은 무엇인가?

계율이란 계와 율을 의미하는데, 계(戒)란 자주적이고 자율적인 것으로서 자신의 내면의 행위를 규제하 는 것이라면, 율(律)은 타율적이며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를 규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율은 부처님이 제정한 교단의 규율이고 출가자가 마땅히 지켜야 할 생활 규범으로서 모두가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