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장비구 48원] 염불로 극락정토에 왕생은 가능한가? 법장(法藏)이란 아미타불이 부처가 되기 전 보살 때의 이름을 말한다. 『무량수경』에 의하면, 아미타불 은 본래 국왕으로서 발심 출가하여 호를 법장이라고 하였는데,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에게 큰 원을 세 우고, 오랫동안 수행을 하여 그 결과 아미타불이 되어 지금 극락세계에서 중생을 교화하며,..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십육관법(十六觀法)]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한 수행법은 무엇인가? 『관무량수경』에서 설하는 십육관법은 부처님께서 친히 위제히 부인 앞에 나투시어 고통받은 위제히 부인을 위하여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한 마음가짐과 바른 수행법을 설하신 것이다. 즉 부처님께서는 서방극락 세계를 관하는 방법으로 13가지의 관법을 설하시고 다시 3관을 설하셨다. ① 일상관(..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정토(淨土)와 예토(穢土)] 정토 세계는 중생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가? 정토란 부처님과 보살이 머무는 세계란 뜻으로 불국토 또는 보살국토라고 한다. 그리고 예토, 즉 사바세 계는 감인세계(堪忍世界), 인토(忍土), 감인토(堪忍土), 인계(忍界)라고 한역되어지고 있는데, 이는 탐욕 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삼독에 의해서 이루어진 중생의 세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아미타불..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화엄보살도(華嚴菩薩道)] 보살의 삶이란 무엇인가? 화엄경에서는 보살이 수행하는 과정을 42단계로 설하고 있는데,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 십지(十地), 등각(等覺), 묘각(妙覺)의 단계를 차례로 설하고 있다. ▶십주(十 住) 여기서 십주란 보살이 십신(十信 : 信心, 精進心, 念心, 慧心, 定心, 施心, 戒心, 護法心, 願心, 廻向心)의 단계에 올..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육상원융(六相圓融)] 우주 법계의 구성 원리는 무엇인가? 화엄종에서 법계 연기의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모든 존재는 여섯 가지의 상(相), 즉 총상(總相), 별상(別相), 동상(同相), 이상(異相), 성상(成相), 괴상(壞相)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육 상은 서로 다른 상을 방해하지 않고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이 한 몸이 되어 원만하게 융..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법계연기(法界緣起)]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의 이치는 무엇인가? 중국 화엄종의 중요 명제이며, 기본 교의로 법계무진연기(法界無盡緣起), 무진연기, 성기연기(性起緣起) 라고도 한다. 여기서 법이란 곧 사물이며, 계란 곧 성(性)을 말한다. 즉 법계란 법성(法性)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체 만유는 법계에서 생기(生起)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 법계는 서로가 걸림 없이..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오교십종(五敎十宗)] 화엄종의 오교십종이란 무엇인가? 중국 당나라 때 화엄종의 제3조인 법장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의 형식과 내용상으로 얕고 깊음을 정 하여 천태종의 오시팔교를 본 따 판석한 것으로 화엄경에 최고의 권위를 가져다 주었다. 여기서 오교는 ① 소승교(小乘敎) : 소승을 위해서 사성제, 12인연 등을 설한 아함경 등의 가르침, ② 대승시..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교상판석(敎相判釋)과 오시팔교(五時八敎)] 천태종의 오시팔교란 무엇인가 [교상판석(敎相判釋)과 오시팔교(五時八敎)] 천태종의 오시팔교란 무엇인가? 부처님이 일생 동안 설한 가르침을 그 내용과 설해진 시기 등에 따라 분류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천 태종의 오시팔교, 화엄종의 오교십종(五敎十宗) 등을 말한다. 이는 인도에서 성립한 대소승의 불교경전 들이 성립 순..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일승(一乘)과 삼승(三乘)] 성불에 이르는 보살의 길은 하나인가? 승(乘)이란 타고 가는 것을 의미하는데. 일체 중생이 모두 성불한다는 견지에서 그 구제하는 교법이 하나뿐이고, 또 절대 진실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일승이라면, 삼승으로 설한다는 것은 부처님의 깨달 음에 이르는 하나의 길을 셋으로 분별하여 설한다는 것이다. 삼승은 성문승(聲聞乘), 연각승(..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3해탈(三解脫)] 해탈의 실체는 무엇인가? 삼공(三空), 삼해탈문이라고도 한다. 즉 해탈을 얻어 가는 세 가지 방법으로 공해탈문(空解脫門)은 일체 만유가 모두 공(空)이라고 관하는 것이요,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은 공이기 때문에 상대적 차별이 없다 고 관하는 것이고, 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은 일체 만유가 공이고 무상이기 때문에 원해서 ..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