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도품(三十七道品)] 깨달음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과 단계는 무엇인가? 불교의 목적인 깨달음을 실현하고 또한 지혜를 얻기 위한 실천 수행법이란 뜻으로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37보리분(三十七菩提分)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도를 닦는데 보조적인 역할이 되는 것’, ‘깨달아 가 는 단계’에 나타난 4념처(四念處), 4정단(四正斷), 4여의족(四如意足), 5근(五根), 5력(五力..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십법계(十法界)와 육도윤회(六道輪廻)] 윤회의 사슬에서 벗어나는 길은 무 [십법계(十法界)와 육도윤회(六道輪廻)] 윤회의 사슬에서 벗어나는 길은 무엇인가? 삼라만상은 모두 십계의 범주에 들어가 서로 다른 경계를 형성하는데 이를 십법계라고 한다. 『법화경』 에서는 지옥(地獄)ㆍ아귀(餓鬼)ㆍ축생(畜生)ㆍ수라(修羅)ㆍ인(人)ㆍ천(天)의 미혹한 세계와 성문(聲聞), 연각(緣..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아승기겁(阿僧祇劫)] 불교에서 겁(劫)이란 어느 정도의 시간인가? 아승기란 아승기야(阿僧企耶), 아승가(阿僧迦), 아기(阿祇)라고도 쓰며, 무수(無數), 무진수(無盡數)라 번역한다. 그리고 겁(劫)이란 인도에서 큰 수, 헤아릴 수 없는 아득한 시간의 단위를 말한다. 따라서 아 승기겁은 헤아릴 수 없는 긴 시간을 말하며, 대개 아승지겁이라고도 한다. 겁이라는 시간은 인..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5위100법(五位百法)] 인간의 정신세계와 물질세계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 [5위100법(五位百法)] 인간의 정신세계와 물질세계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인간의 내면세계와 객관세계를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은 불교의 여러 학파에서 행해져 왔 다. 이러한 제법의 분류로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5위75법, 유식학에서는 5위100법으로 분류 하였다. 여기서 5..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근본번뇌(根本煩惱)] 번뇌란 무엇인가? 번뇌란 중생의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거나 어지럽히고 괴롭히는 등 미혹하게 하는 정신작용을 말하는 데, 혹(惑)이라고도 한다. 중생은 번뇌에 의해 업을 짓게 되며, 괴로움의 과보를 받아 미혹의 세계를 헤 매게 된다. 이것을 혹(惑)ㆍ업(業)ㆍ고(苦)의 삼도(三道)라고 한다. 유식에서는 번뇌를 근본..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아뢰야연기론(阿賴耶緣起論)] 윤회의 주체는 과연 무엇인가? 『해심밀경』, 『유가사지론』, 『성유식론』 등의 경론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유식종, 법상종이 주장하 는 연기설로 제8식인 아뢰야식을 두어 연기를 설명한 이론이다. 부파불교에서는 자기가 지은 업의 세력 에 의해서 삼계가 생사윤회 한다는 업감연기설(業減緣起說)을 주장하였는데, 과연 그 업의..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유식(唯識)] 만물을 인식하는 근원은 무엇인가? 유식이란 글자 그대로 오직 식(識)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계(外界)로 이해되고 있는 일 체의 것이 마음에 비친 표상(表象 : 識)에 지나지 않으며, 외계의 존재물은 없다는 사상이다. 이 표상이 나타내는 것은 대상을 식별하는 마음의 작용인 식(識)이 변하여 나타난 마음의 그림자라고 본..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이제설(二諦說)] 세간의 진리와 출세간의 진리는 어떻게 다른가?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말한다. 진제란 승의제(勝義諦), 제일의제(帝一義諦)라고도 하여 출세간적 진리를 말하며, 속제란 세속제(世俗諦), 세제(世諦)라 하여 세간의 진리를 말한다. 진정한 의미에서 진리 에 무슨 세간적이니 출세간적이니 하는 차별이 있을 수 있는가 하는 의심을 할 수도 있으나 ..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4연(四緣)] 일체 현상이 생기는 과정은 무엇인가? 4연은 물(物)ㆍ심(心)의 온갖 현상이 생기는 것에 대하여 그 연(緣)을 넷으로 나눈 것, 즉 인연(因緣), 등 무간연(等無間緣), 소연연(所緣緣), 증상연(增上緣)을 말한다. 인연은 일체의 현상이 직접적ㆍ내적인 원 인인 인(因)과 간접적ㆍ외적인 원인인 연(緣)이 화합하여 생멸을 되풀이한다는 것이며, 등무..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
[사구부정(四句否定)] 부정을 반복하는 중관의 논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물에 관해서 그 진상을 알리기 위하여 몇 번이고 부정을 거듭하여 유무(有無)의 견해를 명백하게 해주 는 변증법적인 문답법을 말하는데, 사구분별(四句分別), 또는 사구백비(四句百非)라고도 한다. 중관파에 서는 통상 사구분별의 각 구는 모두 부정된다. 사구는 정립(定立), 반정립(反定立), 긍정종..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문답 201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