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입문▶/------절을 찾아서

[제1장 절을 찾아서] [2.사찰의 구조] (2)문(門)

香積 2009. 7. 30. 00:41

1.산문
사찰은 거룩한 부처님을 모시고 있는 청정하고도 장엄한 곳이며 스님들이 머물면서

수행하는 터전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마음을 닦고 올바른 삶을 다짐하는 곳도 여기

며 부처님 말씀을 전하는 전법의 주요 공간도 이곳입니다.


사찰의 중심인 큰 법당에 들어서려면 일주문(一柱門)금강문(金剛門)천왕문(天王文)

해탈문(解脫門)을 지나야 하는데 이러한 문들을 일컬어 산문(山門)이라 합니다.

일주문
일주문은 사찰의 입구입니다. 속세로부터 벗어나 부처님의 대지인 진리의 터전으로

들어서는 첫 관문인 것입니다. 그런데 신기한 점은 일주문의 기둥이 사각이 아니고

한 줄로 늘어선 두 개 혹은 네 개 기둥이 버티고 서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바로 우리

들의 깨끗한 마음인 일심(一心)을 상징합니다. 불자들은 여기서 마음을 가다듬고

법당 쪽을 향해서 반배한 후 한발한발 단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발길을 옮깁니다.


일주문을 지나면 천왕문이 나타납니다. 천왕문은 부처님과 불법과 스님과 불자들을

수호하는 사천왕(四天王)을 모신 건물입니다. 천왕문은 외부의 악한 기운이나 침입

자로부터 사찰을 보호하여 청정도량으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사천왕들이 눈을 부릅

뜨고 지켜서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용추사 일주문 불곡사 일주문 해인사 일주문 통도사 일주문 개암사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의 좌우측 대문에는 금강역사(金剛力士)가 그려져 있습니다.

금강역사는 엄청난 힘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 강력한 힘으로 사찰을 수호하는

기능을 맞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강문이라는 별도의 문을 갖춘 사찰도 있는데,

이 곳에는 금강역사가 조각으로 조성되어 있기 마련입니다.


 

수덕사 금강문 송광사 금강문

 

 

 

 

 

 

 

 

천왕문

사찰에 들어갈 때 일주문, 금강문 다음에 거쳐야 하는

문(門)으로 천왕문이라고도 한다. 사천왕상을 안치한

천왕문은 사찰을 지키고 악귀를 내쫓아 불도를 닦는

사람들로 하여금 사찰이 신성한 곳이라는 생각을 갖게

하기 위해 세워졌다.

사천왕문에는 인간의 선악을 관찰하고 수행자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며 불법을 수호하는 지국천왕,

광목천왕, 증장천왕, 다문천왕 등의 사천왕상이 있는데

각각 불국정토의 동ㆍ서ㆍ남ㆍ북을 지키는 신들이다.

동쪽을 지키는 지국천왕은 손에는 보검을 쥐고 있다.

서쪽을 지키는 광목천왕은 붉은 관을 쓰고 있으며

삼지창과 보탑을 들고 있다.

남쪽을 지키는 증장천왕은 오른손에는 용을 움켜잡고

왼손에는 용의 입에서 빼낸 여의주를 쥐고 있다.

북쪽을 지키는 다문천왕은 왼손으로 비파를 잡고

오른손으로 줄을 튕기는 모습이다.

선운사 천왕문
직지사 천왕문

 



불이문
천왕문을 지나 길을 오르면 다시 불이문(不二門)이 나타납니다. 이 문은 번뇌의

속된 마음을 돌려서 해탈의 세계에 이르게 한다하여 해탈문(解脫門)이라고도 하며,

궁극적으로 번뇌와 해탈이 둘이 아니기 때문에 불이문이라고 일컫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해탈문은 누각 밑을 통과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2층의 다락집

형태인 누각 밑 1층 기둥 사이로 길이 나 있어 문의 모습을 이루고 있는 것이지요.

2층 누각은 불법을 설하는 강당으로 쓰여 왔습니다. 그래서 진입하는 쪽에서 보면

문이요 진입하고 난 뒤 법당 쪽에서 보면 누각으로 다가옵니다.

해탈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사찰의 중심 법당이 보입니다. 그리고 법당 앞마당에

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나 말씀인 경전을 간직한 탑이 우뚝 서 있습니다.

건봉사 불이문 마곡사 해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