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불교 성보의 이해
한국불교는 1700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마침내 민족문화의 뿌리와 줄기기 되었다.
방방곡곡에 불교 성지와 불교 문화재가 숨쉬고 있다.
우리나라 국보와 보물, 지방문화재 대부분이 불교의 성보(聖寶)이다
유네스코(UNESCO)는 지난 1995년에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을 보존
하는 해인사 장경판전과 불국사 석굴암, 그리고 종묘를 세계문화유산
으로 지정하였다. 우리나라 불교문화재의우수성을 세계에서도 인정
한다는 증거이다.
불교 문화재는 민족 문화유산이면서 한편으로 불교 성보라는 두 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일부 국민들은 이를 민족 문화유산으로 받아들일
뿐 불자들의 변함 없는 신앙대상이라는 본질은 깨닫지 못하고 있다.
그들에게 전통사찰은 경관이 빼어난 단순한 관광지에 불과하고, 성보
문화재는 관광 대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불교 문화재는, 우리 조상들이 직극한 불심과 뛰어나 기술로
구현한 신앙의 상징이며 영원한 신앙의 대상이다. 이를 바르게 인식할
때 사찰과 성보 문화재의 존재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성보와 민족 문화유산의 가치를 이해하고 보존하는 것은 바로 우리
민족의 전통과 역사 그리고 사상과 문화를 창달하는 기초가 된다. 어떤
민족이든 고유의 전통문화와 사상을 보존하지 못하면 그 존재성을 확인
하기 힘들다. 진정한 세계화 ㆍ국제화는 민족 고유의 전통과 문화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가장 한국적인 것, 가장 불교적인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임을 우리는 해인사 장경판전과 불국사 석굴암의 세계문화유산지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문화의 정수를 계승해 온 우리 한국 불교는 우수한 문화민족으로서
민족문화를 잘 본존하고 발전시켜야 할 역사적 사명이 있다. 한국불교의
이러한 문화적 과제를 새삼 인식하고, 이를 위해 정진해 나가야겠다.
'◀불교입문▶ > ------절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1/23 (0) | 2016.01.23 |
---|---|
[제1장 절을 찾아서] 7. 불교 조형물 1)당간과 당간지주 2)엄경대 3)윤장대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6.사리장엄과 복장물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5.법구(法具) 1)불전사물 2)목탁 3)죽비 4)발우 5)요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4.불교 회화 1)탱화 2)벽화 3)감로도 4)괘불 5)변상도 (0) | 2009.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