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8) 발우공양 예절 8)공양 예절 향. 초 .꽃. 쌀. 차. 과일 등의 시물을 부처님께 받쳐 목마르고 배고픈 중생에게 회향하고 중생의 고통을 여의게 해주는 것을 공양이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향. 초. 꽃. 쌀. 차. 과일은 육법공양이라 해서 중요시해 왔다. 공양이란 원래 스님 에게 수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이나 음식을 드..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7) 스님에 대한 예절 7)스님에 대한 예절 스님은 삼보에 속하는 출가자로서 재가불자에게는 스승과 같은 공경의 대상 이다. 재가자는 스님 가까이에서 가르침을 받을 수 있고 수행자의 진정한 모습 을 본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어디서나 스님을 대할때는 존경의 마음으로 합장 반배해야 한다. 불교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6) 법회와 예불에서의 예절 6)법회와 예불에서의 예절 법회와 예불은 불교 신행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예불은 하루를 시작하고 마무리하면서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의식이고, 법회는 부처님 말씀을 배우고 익히며 불자로서의 삶을 다짐하는 시간이다. 그러므로 불자들은 법회와 예불이 있을 때는 반드시 참석하여 부처님께 ..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5) 법당 예절 법당예절 법당에는 문이 여러 개가 있는데 보통 중앙문이 있고 양옆에 각기 문이 있다. 그리고 법당 좌우의 측면에 또 문이 하나씩 있는 것이 우리나라 법당의 일반적 인 모양이다. 법당 안을 보면 가운데 상단에 불보살님을 모시고 그 좌우에 신중 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단의 불보살님을 기준으로 ..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4)사찰 예절 4)사찰예절 사찰은 부처님을 모시는 신성하고도 장엄한 곳이다. 속세의 번뇌를 씻고 마음을 깨끗이 하는 곳이며, 자신의 잘못을 참회하고 올바른 삶을 다짐하는 곳이다. 그기고 스님들이 상주하면서 공부하고 수행하는 도량이기도 하다. 사찰에 가면 일주문(一柱門),금강문(金鋼門),천왕문(天王門)불..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3)오체투지 고두례 (3)고두례(叩頭禮) 절을 아무리 많이 한다 해도 부처님을 향한 지극한 예경의 마음을 다 표현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절을 다 마치고 일어서기 전, 부처님의 한량없는 공덕을 생각하며 지극한 마음으로 한 번 더 머리를 조아리는 것이 고두례이다. 유원반배(唯願半拜) 라고도 하는데, 무수히 예경하고 싶..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2)오체투지 삼배 2)삼배 삼보에 예경을 올릴 때는 ㅇ체투지의 큰절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오체투지는 몸 다섯 부분인 두 팔꿈치와 두 무릎, 이마를 말한다. 오체투지는 몸의 다섯 부분을 땅에 닿게 엎드려 하는 절이다. 온 몸을 땅에 던져 절을 하면서 공경하는 이를 마음 속 깊이 받드는 것이다. 오체투지하는 방법은 ..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2)오체투지 일배 (2)일배 오체투지(五體投地) 삼보에 예경을 올릴 때는 오체투지의 큰절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오체투지는 몸 다섯 부분인 두 팔꿈치와 두 무릎, 이마를 말한다. 오체투지는 몸의 다섯 부분을 땅에 닿게 엎드려 하는 절이다. 온 몸을 땅에 던져 절을 하면서 공경하는 이를 마음 속 깊이 받드는 것이다. ..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3)절의 의미와 공덕(1)반배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3)절의 의미와 공덕(1)반배(半拜) 3) 절의 의미와 공덕 절은 불교 의식 때 가장 많이 하는 동작이다. 삼보(三寶,佛,法,僧)에 대한 예경과 상대방을 존경하는 마음의 표현이며 자신을 스스로 낮추는 하심(下心)의 수행 방법 중 하나다.절 자체가 하나의 훌륭한 수.. ◀불교입문▶/------절을 찾아서 200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