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三寶), 삼신설(三身說), 과거칠불(過去七佛) [삼보(三寶)] 불교 신앙의 대상은 무엇인가? 삼보란 불교도들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신앙의 대상으로서 불보, 법보, 승보를 말하는데,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위덕(威德)이 있는 최상의 것이며, 변하지 않음이 세간의 보배와 같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이는 불교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 요소이기..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난행도(難行道)와 이행도(易行道), 삼처전심(三處傳心), 일행삼매(一行三昧 [난행도(難行道)와 이행도(易行道)] 자력과 타력은 별개의 수행인가? 난행도는 자력에 의하여 수행의 공을 쌓아서 이 세계에서 깨달음에 드는 길을 말하고, 이행도란 깨닫는 경계에 쉽게 도달할 수 있는 가르침을 말한다. 이 말은 “불법에는 무량한 문이 있고, 세간의 도리에는 어려운 것도 있고 쉬운 ..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정토(淨土)와 예토(穢土), 십육관법(十六觀法), 법장비구 48원 [정토(淨土)와 예토(穢土)] 정토 세계는 중생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가? 정토란 부처님과 보살이 머무는 세계란 뜻으로 불국토 또는 보살국토라고 한다. 그리고 예토, 즉 사바세계는 감인세계(堪忍世界), 인토(忍土), 감인토(堪忍土), 인계(忍界)라고 한역되어지고 있는데, 이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육상원융(六相圓融), 화엄보살도(華嚴菩薩道) [육상원융(六相圓融)] 우주 법계의 구성 원리는 무엇인가? 화엄종에서 법계 연기의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모든 존재는 여섯 가지의 상(相), 즉 총상(總相), 별상(別相), 동상(同相), 이상(異相), 성상(成相), 괴상(壞相)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육상은 서로 다른 상을 방해하지 않고..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교상판석(敎相判釋)과 오시팔교(五時八敎), 오교십종(五敎十宗), 법계연기 [교상판석(敎相判釋)과 오시팔교(五時八敎)] 천태종의 오시팔교란 무엇인가? 부처님이 일생 동안 설한 가르침을 그 내용과 설해진 시기 등에 따라 분류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천태종의 오시팔교, 화엄종의 오교십종(五敎十宗) 등을 말한다. 이는 인도에서 성립한 대소승의 불교경전들이 성립 순서..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37도품(三十七道品), 3해탈(三解脫), 일승(一乘)과 삼승(三乘) [37도품(三十七道品)] 깨달음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과 단계는 무엇인가? 불교의 목적인 깨달음을 실현하고 또한 지혜를 얻기 위한 실천 수행법이란 뜻으로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37보리분(三十七菩提分)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도를 닦는데 보조적인 역할이 되는 것’, ‘깨달아 가는 단계’에 나..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5위100법(五位百法), 아승기겁(阿僧祇劫), 십법계(十法界)와 육도윤회(六道 [5위100법(五位百法)] 인간의 정신세계와 물질세계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인간의 내면세계와 객관세계를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은 불교의 여러 학파에서 행해져 왔다. 이러한 제법의 분류로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5위75법, 유식학에서는 5위100법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서 5..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유식(唯識), 아뢰야연기론(阿賴耶緣起論), 근본번뇌(根本煩惱) [유식(唯識)] 만물을 인식하는 근원은 무엇인가? 유식이란 글자 그대로 오직 식(識)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계(外界)로 이해되고 있는 일체의 것이 마음에 비친 표상(表象 : 識)에 지나지 않으며, 외계의 존재물은 없다는 사상이다. 이 표상이 나타내는 것은 대상을 식별하는 마음의 작용..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사구부정(四句否定), 4연(四緣), 이제설(二諦說) [사구부정(四句否定)] 부정을 반복하는 중관의 논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물에 관해서 그 진상을 알리기 위하여 몇 번이고 부정을 거듭하여 유무(有無)의 견해를 명백하게 해주는 변증법적인 문답법을 말하는데, 사구분별(四句分別), 또는 사구백비(四句百非)라고도 한다. 중관파에서는 통상 사구..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
공(空), 중관(中觀), 팔부중도(八不中道) [공(空)] 공사상은 우주의 실상인가, 허무주의인가? 공은 비어 있음, 무(無)ㆍ공적(空寂)ㆍ공정(空淨)이라고 번역한다. 허무나 멸무(滅無)와는 다른 실상(實相)의 의미이다. 공사상은 인간을 포함한 일체 만물에 고정 불변하는 실체가 없다는 불교의 근본 교리이다.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사물들은 다.. ◀불교의 이해와 신행▶/교리법문 2009.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