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의 이해▶/-------한국불교 21

고려 시대의 불교 - 종파 체제의 정비

종파체제의 정비 고려의 건국 이후 국가체제가 정비되면서 불교계도 점차 교단체제를 정비하였다. 고려 전기의 주요한 종파는 화엄종, 법상종, 선종 등 신라시대 이래의 종파들이었고, 12세기 초에 이르러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개창하면서 4대 종파체제로 바뀌었다. 시기에 따라 각 종파의 성쇠..

고려 시대의 불교 - 고려 전기의 숭불정책

숭불의례 후삼국의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통일왕조인 고려를 개창한 왕건은 건국 초부터 적극적인 숭불정책을 시행하였다. 건국 이후 수도 개경에 많은 사찰을 창건하였을 뿐 아니라 만년에 자손들에게 남긴 『훈요십조(訓要十條)』에서도 불법을 숭상하고 사찰을 보호할 것과 불교행사인 연등회..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 신라 후기의 불교계

신라 후기의 불교계 8세기 중반 이후 신라사회는 커다란 변동을 겪게 되었다. 혜공왕대(765~779년) 후반에 귀족들의 모반이 연이어 일어나다가 국왕이 반란의 와중에 희생됨으로써 무열왕계의 왕통이 단절되고 중기 왕실은 막을 내렸다. 이후의 신라 후기 150년 동안은 귀족들 사이에 왕위 계승을 둘러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 교학의 발전

교학의 발전 통일신라시대는 한국 불교학의 전성기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정도로 수많은 불교이론들이 발전하였다. 당나라와의 활발한 문화교류를 배경으로 새로운 불교이론들이 지체 없이 수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기초로 하여 불교이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했던 시기였다. 특히 독..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 해외 구법활동

대중적 불교신앙의 발전 불교가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퍼지고 개인의 신앙으로서의 성격이 강화되면서 불교신앙의 내용도 대중들의 개인적인 평안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통일기에 가장 성행했던 것은 서방극락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아미타신앙과 현세의 고통을 덜어 주기를 기원하는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 불교정책과 대중의 불교

1. 불교정책과 대중의 불교 왕실의 불교관 신라에 의해 삼국의 통일이 이뤄지면서 사회는 크게 변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불교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불교계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불교의 정치이념으로서의 역할이 축소되었고, 그 대신에 개인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측면이 ..

1. 삼국시대의 불교 - 미륵신앙과 불국토 사상

미륵신앙 불교가 정착되면서 부처와 보살들에 대한 신앙도 널리 퍼졌다. 삼국시대에는 특히 미륵에 대한 신앙이 활발했다. 미륵에 대한 신앙은 죽은 후에 현재 미륵이 수행하고 있는 도솔천에 태어나 미륵의 설법을 듣기를 원하는 상생신앙과 내세불이 이 지상에 출현하여 모든 중생들을 구제해 주기..

1. 삼국시대의 불교 - 불교교학의 수용

고구려의 불교학 이른 시기에 고대국가 체제를 완성하고 중국의 왕조와 교류하였던 고구려는 불교학의 연구에서도 선진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교를 공식적으로 수용하기 이전에 이미 고구려 출신의 승려가 남중국의 고승 지둔과 교류한 것은 이미 당시에 불교학의 이해 수준이 상당한 정도에 이..

1. 삼국시대의 불교 - 불교적 정치이념

전륜성왕 불교가 수용된 이후 삼국에서는 고대국가의 통치체제, 특히 국왕의 존엄성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불교의 사상이나 이론을 정치이념으로 이용하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모습은 특히 불교의 수용과 고대국가 체제의 정비가 함께 이뤄진 신라사회에서 두드러지지만 고구려나 백제에서도..

1. 삼국시대의 불교 - 불교의 수용과 갈등

불교의 수용과 갈등 삼국 중 고구려와 백제는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별다른 갈등이 없었던 반면에, 신라에서는 이차돈의 순교사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불교 수용을 추진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세력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고구려와 백제가 이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