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불교조각 -② 보살상 보살상은 대승불교의 특징을 상징하는 보디사트바를 도상화한 것이다. 보살은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대승불교에서는 수많은 보살상이 등장하고 있다. 보살상은 대부분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머리카락을 드리우며 몸은 장신구로 장엄.. ◀불교문화▶/제1부 불교미술 2009.10.03
제1장 불교조각 불교조각은 예배의 대상이 되는 불상을 포함하여 보살, 나한, 명왕, 천부 등의 모든 상을 말한다. 불교조각은 인도에서 석가모니불을 조형적으로 형상화한 부처상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근본불교에서 대승불교시대로 접어들면서 이타행의 실천이 강조되고 이를 구체적으로 뒷받침하는 많은 불보살.. ◀불교문화▶/제1부 불교미술 2009.10.03
불교공예의 기원 불교미술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인 불교고예 역시 불교역사의 산물이다. 이른바 삼의일발의 수행생활을 엄격히 지킨 부처님 당시에는 별도의 불교공예품이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경전에 일산과 산개 등으로 부처님을 모시고 갖가지 물건으로 공양을 했다는 내용이 전하고 있다. 하지만 불교.. ◀불교문화▶/제1부 불교미술 2009.10.03
불교회화의 성립 불탑과 불상을 모시는 예배 공간을 장엄하는 벽화의 등장은 불교회화의 본격적 전개를 의미한다. 불교회화는 불전도와 전생도를 조각으로 표현하던 시기가 지나면서 조각으로 세밀하게 묘사하기 힘든 여러 가지 불교설화나 부처님 당시의 상황은 물론 여러 가지 경전을 내용을 마음대로 표현할 수 .. ◀불교문화▶/제1부 불교미술 2009.10.03
불교건축의 기원 승가람의 효시인 기원정사를 비롯한 여러 사원은 이른바 출가자의 수행처인 승원이었다. 그리고 불상의 출현 이전에는 불탑을 제외하면 불상을 모시는 건축물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출가자들도 불탑신앙에 몰입하고 불탑 근처에 승원이 건립되면서 불탑을 모신 가람이 건립되.. ◀불교문화▶/제1부 불교미술 2009.10.03
불상의 탄생 부처님 입멸 후 오랜 기간 불상이 조성되지 않았던 이유는 교학적 근거와 신앙적 측면의 두 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교학적 근거를 따진다면 부처님은 입멸을 통해 육신을 버리고 아무런 형태도 남기지 않은 완전한 무여의열반에 든 존재이다. 따라서 부처님은 눈으로 볼 수 없는 존재로서 형태로 파.. ◀불교문화▶/제1부 불교미술 2009.10.03
불교미술이란 무엇인가 불교미술이란 다양한 불교문화 가운데 시각적, 공간적 표현을 통해 부처님의 생애와 진리, 역대 선지식의 수행과 전도생활을 비롯한 불자들의 신앙, 나아가 불교의 사상과 역사를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신앙 표현으로서의 불교문화’라는 큰 범주 중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불교조각, .. ◀불교문화▶/제1부 불교미술 2009.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