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입문▶/------절을 찾아서

[제1장 절을 찾아서] 3.불상과 수인(手印) (1)불상의 종류

香積 2009. 7. 30. 00:44

1)불상의 종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여래상

여래상은 부처님상을 말한다. 수인(手印)이나 좌우 보처 현시보살에 따라 구분되며
각 사찰의 법당 명칭을 기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본래 여래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가리킨다. 그러나 대승불교시대에 이르면서 수많은 부처님이 등장하고, 더블어 불상
형태가 다양해진다. 하지만 이름만 다를 뿐 32상 80종호 라는 기본형식은 같으므로
손 모양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같다. 즉 상이 원만하고 유계와 백호가 있으며 법의를
입고 장엄구가 없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① 석가모니불상

항마촉지인.선정인.전법륜인 등의 수인을 하고 있고, 가사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의 모습이다. 협시로는 문수보살.보현보살 또는 가섭존자.아난존자가 있다

 


 

② 아미타불상

수인은 구품인을 하고 있으며, 가사를 양 어깨에 걸친 통견의 모습이다. 좌우 협시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나, 많은 사찰에서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을 모시기도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③ 비로자나불상

지권인을 하고 있다. 좌우 협시로는 노사나불과 석가모니불, 또는 아미타불과

약사여래 등 삼존불과 함께 다섯 부처님을 모시고 있다.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협시로 모시기도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④ 미륵불상

미래불인 미륵불은 대부분 전각 밖에 따로 모신다.
시무외인 또는 여원인 등의 수인을 하고있다.

 

 

⑤ 약사여래상

약사여래는 질병 치료, 수명 연장, 재화 소멸, 의복과 음식 등을 구족시키고자 하는
부처님으로 왼손에는 약병이나 약함,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고 있다. 좌우 협시는
일광변조 소재보살과 월광변조 식재보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