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삼배
삼보에 예경을 올릴 때는 ㅇ체투지의 큰절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오체투지는 몸 다섯 부분인 두 팔꿈치와 두 무릎, 이마를 말한다.
오체투지는 몸의 다섯 부분을 땅에 닿게 엎드려 하는 절이다.
온 몸을 땅에 던져 절을 하면서 공경하는 이를 마음 속 깊이 받드는 것이다.
오체투지하는 방법은 우리나라에서는 전통 예법인 큰절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되, 반드시 몸의 다섯 부분이 땅에 닿아야 한다. 오체투지는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동작으로서, 가장 경건한
예법이다.
큰절하는 동착을 순서대로 따라해보자.
먼저 서 있는 자세에서 합장 반배를 한다. 그런 다음 고개를 자연스럽게 숙이며
무릎을 꿇고 앉는다. 엉덩이를 발뒤꿈치에 붙이면서 양 손으로 바닥을 짚고
오른발 위에 왼발을 X 자로 올려놓는다. 양 손으로 바닥을 짚을 때는 손끝을
15% 정도 안으로 오므린다. 이마, 양 팔꿈치, 양 무릎을 바닥에 대고 엉덩이는
발뒤꿈치에 붙인 자세가 오체투지다.
접족례는 엎드려 절하면서 부처님의 발을 받드는 것으로,마음을 다해 부처님께
존경을 표하는 행위이다. 접족례를 할 때는 손바닥을 위로 하여 귀밑 높이까지
올리되 부처님의 발을 조심스레 들어 올려서 내 머리를 부처님의 발에 댄다는
기분으로 한다.
일어설 때는 엎그릴 때와 정반대 순서로 하는데, 먼저 손바닥을 다시 뒤집어
두 손을 거두고 합장 하면서 다리를 풀고 본래의 자세로 일어선다.
'◀불교입문▶ > ------절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4)사찰 예절 (0) | 2009.07.30 |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3)오체투지 고두례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2)오체투지 일배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3)절의 의미와 공덕(1)반배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2)우슬착지 (0) | 2009.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