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불중관(八不中觀), 팔불정관(八不正觀), 무애중도(無碍中道), 무득중도(無得中道)라고도 한다. 즉 중 생들은 일체 존재를 잘못 알고 생(生)ㆍ멸(滅)ㆍ거(去)ㆍ래(來)ㆍ일(一)ㆍ이(異)ㆍ단(斷)ㆍ상(常)이라는 그릇된 고집을 일으키므로 이것을 깨뜨리기 위하여 일체 현상이 모두 자성이 없다는 도리를 밝히고 불생 ㆍ불멸ㆍ불거ㆍ불래ㆍ불일ㆍ불이ㆍ부단ㆍ불상의 팔불(八不)의 정관을 닦는 것을 말한다. 이를 구체적 으로 살펴보면, 첫째, 불생불멸(不生不滅)이란 생멸의 양극단을 부정한 것이다. 일체법의 생은 인연이 화합하여 나타난 것이며 멸하는 것도 인연이 다 되어 사라지는 것뿐이다. 이는 인연의 유무에 따라 생멸 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여 생멸에 대한 착각과 집착하는 것을 고쳐 주기 위한 것이다. 둘째, 불상부단(不常不斷)이란 모든 법은 인연의 집합으로 모이고 흩어지고 하는데, 영원히 상주한다거 나 단멸한다고 착각하는 극단적인 사고를 타파한 것이다. 셋째, 불이불이(不一不異)란 현상계의 모든 사물은 서로 다르나 그 진리의 본체에서 보면 동일한 것이기 에, 영원히 다르다거나 동일하다는 집착을 부정한 것이다. 넷째, 불거불래(不去不來)는 일체 중생이 무명 망상으로 윤회하여 왔다 갔다 하지만 본래 진리의 당체는 오고 가는 체성이 아닌데, 임시로 왔다 갔다 하는 것을 실제의 현상으로 집착함을 타파한 것이다. 이 같은 팔불의 중관 사상은 파사현정(破邪顯正)을 기치로 한 것이니, 팔불로써 집착을 타파하여 공임을 보인 것이 파사요, 그리하여 중도를 드러낸 것이 현정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 이해와 신행▶ > 교리문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연(四緣)] 일체 현상이 생기는 과정은 무엇인가? (0) | 2010.07.24 |
---|---|
[사구부정(四句否定)] 부정을 반복하는 중관의 논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0) | 2010.07.24 |
[중관(中觀)] 지금 내가 여기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0) | 2010.07.24 |
[공(空)] 공사상은 우주의 실상인가, 허무주의인가? (0) | 2010.07.24 |
[오음성고(五陰盛苦)] 무엇이 중생의 고통인가? (0) | 201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