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이란 인도의 선이 중국에 전래되어 선 수증의 종지를 가지고 형성된 종파를 말한다.
선종의 초조는 보리달마이며, 혜가, 승찬, 흥인을 거쳐
신수와 혜능에 의해 북종과 남종으로 나뉘어져서
북종은 점수선, 남종은 돈오선을 각각 선양하였다.
남종 계통인 마조의 홍주종에 이르러 조사선의 생활종교로 발전하여
선종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이후 오가칠종으로 발전되고 그 중 조동종과
임제종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선종에서는 자파의 종지로 ‘교외별전,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을 표방하고 있다.
교외별전이란 선의 입각처가 언어의 길이 끊어지고,
마음의 길이 없어진 경지임을 나타내는 말임과 동시에,
언어와 문자에 의지하는 교종의 가르침에 대해
이심전심의 마음을 강조하여 말보다 마음이 우월하다는
종파주의의 산물이기도하다.
불립문자란 앞에서 말한 “언어문자를 초월한 선의 경지를
나타내기 위해 문자를 세우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그러나 불립문자는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고,
언어문자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직지인심의 가르침은 사람의 마음을 바로 가리켜
부처의 성품을 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달마는 ‘성품이 곧 마음’이라고 마랗고, 마조는
‘마음이 곧 부처’라고 말하고, 임제는 ‘사람이 곧 부처’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인간의 참성품을 보게 되면 바로 부처가 된다는 의미로
견성이 곧 성불이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선불교는 대승불교의 실천적 계승이다.
대승불교는 근본불교의 정신으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즉 부파불교가 부처님의 근본 종지를 오해하고 생사를 떠나
단멸공에 안주하는 것으로 열반을 삼음에 대해 무주생사의 무주행,
즉 반야바라밀의 보살행을 근간으로 근본불교의 정신으로 돌아갈 것을 주창한다.
생사에도 머물지 않고, 열반마저 버리는 대승보살행은
중국선종에서 견성성불, 요익중생의 역동적 실천사상으로 계승되어 진다.
‘견성성불, 요익중생’이 선의 정신이다.
선의 내용에 따른 분류는 『대지도론』17권에서는
외도선, 성문선, 보살선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능가경』에서는 사종선을 설하고 있다.
첫째, 우부소행선은 성문.연각.외도 수행자의 선정으로서
자기의 이 몸은 무상.고.무아.부정한 것이라고 관하고
인무아라는 입장에서 설해진 선을 말한다.
둘째, 관찰의선으로 의를 관찰하는 대승공관의 선정을 들고 있다.
여기의 ‘의’란 법이라는 의미로서, 자기의 몸과 일체의 객관존재를 깨닫는 선을 말한다.
셋째, 반연여선은 진여를 소연으로 하는 선이다.
일체의 존재는 공한 것이다라고 하는 차원에서 머무르지 않고,
여래의 법신인 진여불성은 상.락.아.정인 것으로 관하는 것을 말한다.
넷째, 여래청정선은 일체의 삼매를 총괄하는 선정으로,
여래의 깨달음의 경지인 자각성지에서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부처님의 자비 행화에 대해 전념하는 선을 말한다.
종밀은 『도서』에서 종래의 여러 선정설을 종합하여
외도선.범부선.소승선.대승선.최상승선의 5종선으로 분류하고 있다.
훗날 선종에서는 여래선과 조사선으로 나누어
여래선에 대한 조사선의 우위를 말하고 있지만
사실상 여래선을 중국적 조사불교의 관점에서 조사선이라 부르는 것이다.
'◀불교의 이해와 신행▶ > 불교 교리의 전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선 4) 한국선(韓國禪)의 전개 (0) | 2009.08.01 |
---|---|
7. 선 3) 중국 선종사상의 전개 (0) | 2009.08.01 |
7. 선 1) 선의 기원 (0) | 2009.08.01 |
6. 밀교 (0) | 2009.08.01 |
5. 정토 (0) | 200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