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공양 예절
향. 초 .꽃. 쌀. 차. 과일 등의 시물을 부처님께 받쳐 목마르고 배고픈 중생에게
회향하고 중생의 고통을 여의게 해주는 것을 공양이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향.
초. 꽃. 쌀. 차. 과일은 육법공양이라 해서 중요시해 왔다. 공양이란 원래 스님
에게 수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이나 음식을 드려 깨달음의 텃밭을 일구게
한다는 의미이지만, 삼보께 올리는 정성스러운 모든 것은 공양의 의미로 확대
되었다. 법회 때 찬탄의 노래를 부르는 것을 음성공양이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
이다.
온 마음을 다해 바치는 정성스러운 공양은 삼륜이 청정할 때 즉 받는 이, 받는
물건, 주는 이가 청정할 때 크나큰 공덕이 뒤따른다고 한다.
한편 불교에서는 밥 먹는 것도 "공양"이라 한다. 밥 먹는 행위도 하나의 의식이자
수행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 방울의 물에도 부처님의 은혜가 스며있고,
한 알의 곡식에도 많은 사람의 노고가 담겨 있습니다.
몸과 마음을 바로하여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이롭게 하고자 하는 발원을 세웁니다.
이 <공양게>에는 공양을 하는 마음가짐이 잘 드러나 있다. 즉 위로는 부처님의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위해 이타행을 하고자 음식을 먹는 것이다.
한 톨의 쌀이 내 입에 들어오기까지 농부를 비롯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정성과 노력이 있었는지를 살피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그 때문에 밥알
하나도 함부로 버리지 않는 것이 불가의 풍습이다
공양법에는 크게 상공양과 발우공양이 있다. 상(床)공양은 일반 가정에서 처럼
밥상이나 식탁에서 공양 하는 것으로 공양하는 사람 수가 적을 때 하는 공양법
이다. 발우공양은 불교 전통식 공양법으로 많은 대중이 같이 공양 하거나 수련
회 및 수행 시에 한다. 대중이 함께 모여 정진하는 도량에서는 발우공양을 하는
데, 여러 사람이 함께 한다고 해서 이를 대중공양이라고도 한다.
발우는 스님들의 밥그릇을 말한다. 발(鉢)은 산스크리트patra의 음역인 발다라
(鉢다羅)의 약칭이며 우(盂)는 밥그릇을 뜻하는 한자 이다. 발우는 수행자에게
합당한 크기의 그릇이라는 뜻으로"응량기(應量器)"라고도 번역 한다.
발우공양의 절차에는 부처님과 음식을 만든 사람들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과
중생의 고통을 깊이 생각하고 공양을 먹고 얻는 힘을 모든 중생에게 회향하겠다
는 다짐이 담겨 있다.
부처님께서는 당시 인도의 수행 풍습대로 매일 사시(巳時:오전9시~11시)에
한 끼 공양을 하셨는데, 커다란 그릇 하나에 시주 받은 음식을 다 담아 드신
데서 유래하였다. 발우공양은 음식물 쓰레기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된 요즘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 불교계에서 시작해
사회 전체로 퍼져가고 있는 "빈그릇운동"도 발우공양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입문▶ > ------절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장 절을 찾아서] [2.사찰의 구조] 1) 사찰의 의미 (0) | 2009.07.30 |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9) 재가불자끼리의 예절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7) 스님에 대한 예절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6) 법회와 예불에서의 예절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5) 법당 예절 (0) | 2009.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