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합장(合掌)
합장(合掌)은 불자들이 가장 많이 취하는 자세로, 인도의 전통 인사법이다,
두 손바닥을 마주 대서 합하는 것을 합장이라고 하는데, 마주 닿은 손바닥
사이에 틈이 있거나 손가락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두 손을 모아 마주하는 것은 마음을 모은다는 뜻이며, 나아가 나와 남이 둘이
아니라 하나의 진리로 합쳐진 한 생명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합장은 법회 등 불교 의식이나 의례 때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자세이다.
불자끼리는 합장한 채 머리를 숙여 반배하고 상대방에게 존경하는 마음으로
인사한다. 합장은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취할 수 있다.
동작을 볼 때는 차수에서 합장, 또는 합장에서 차수로 연결되어야 자연스럽다.
'◀불교입문▶ > ------절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2)장궤(호궤)합장 (0) | 2009.07.30 |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2)꿇어앉는 자세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2)좌선(가부좌)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 1) 차수 (0) | 2009.07.30 |
[제1장 절을 찾아서] 1.불자의 자세와 행동 (0) | 2009.07.29 |